문제 설명
햄버거 가게에서 일을 하는 상수는 햄버거를 포장하는 일을 합니다. 함께 일을 하는 다른 직원들이 햄버거에 들어갈 재료를 조리해 주면 조리된 순서대로 상수의 앞에 아래서부터 위로 쌓이게 되고, 상수는 순서에 맞게 쌓여서 완성된 햄버거를 따로 옮겨 포장을 하게 됩니다. 상수가 일하는 가게는 정해진 순서(아래서부터, 빵 – 야채 – 고기 - 빵)로 쌓인 햄버거만 포장을 합니다. 상수는 손이 굉장히 빠르기 때문에 상수가 포장하는 동안 속 재료가 추가적으로 들어오는 일은 없으며, 재료의 높이는 무시하여 재료가 높이 쌓여서 일이 힘들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상수의 앞에 쌓이는 재료의 순서가 [야채, 빵, 빵, 야채, 고기, 빵, 야채, 고기, 빵]일 때, 상수는 여섯 번째 재료가 쌓였을 때, 세 번째 재료부터 여섯 번째 재료를 이용하여 햄버거를 포장하고, 아홉 번째 재료가 쌓였을 때, 두 번째 재료와 일곱 번째 재료부터 아홉 번째 재료를 이용하여 햄버거를 포장합니다. 즉, 2개의 햄버거를 포장하게 됩니다. 상수에게 전해지는 재료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ingredient가 주어졌을 때, 상수가 포장하는 햄버거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시오.
제한사항
- 1 ≤ ingredient의 길이 ≤ 1,000,000
- ingredient의 원소는 1, 2, 3 중 하나의 값이며, 순서대로 빵, 야채, 고기를 의미합니다.
입출력 예
ingredient | result |
[2, 1, 1, 2, 3, 1, 2, 3, 1] | 2 |
[1, 3, 2, 1, 2, 1, 3, 1, 2] | 0 |
풀이
1차
const solution = (ingredient) => {
let count = 0;
let ingredientStr = ingredient.join("");
while(true){
if(ingredientStr.includes('1231')){
count ++;
ingredientStr = ingredientStr.replace('1231', '');
}else{
break;
}
}
return count;
}
테스트 1 〉 통과 (0.06ms, 33.4MB)
테스트 2 〉 통과 (0.05ms, 33.5MB)
테스트 3 〉 통과 (4346.23ms, 67.6MB)
테스트 4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5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6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7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8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9 〉 통과 (6806.56ms, 69.1MB)
테스트 10 〉 통과 (4.04ms, 34.6MB)
테스트 11 〉 통과 (3288.98ms, 69.2MB)
테스트 12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13 〉 통과 (0.05ms, 33.5MB)
테스트 14 〉 통과 (0.07ms, 33.3MB)
테스트 15 〉 통과 (0.04ms, 33.4MB)
테스트 16 〉 통과 (0.04ms, 33.5MB)
테스트 17 〉 통과 (0.05ms, 33.4MB)
테스트 18 〉 통과 (0.07ms, 33.4MB)
문자열을 다루는것은 O(n^2)이다 보니까 시간 초과로 실패한 케이스.
주어진 문자열이 길때, 해당 문자열에서 includes로 1231을 판단하고,
1231을 replace한걸 다시 문자열로 바꿔주므로 시간 효율이 안좋은것 같다.
2차
const solution = (ingredient) => {
let count = 0;
let sangsoo = []
for(let i = 0; i < ingredient.length; i ++){
sangsoo.push(ingredient[i]);
if(sangsoo.length < 4) continue;
if(sangsoo.slice(-4).every((el, idx) => el === [1,2,3,1][idx])){
count ++
sangsoo = sangsoo.slice(0,-4);
}
}
return count;
}
테스트 1 〉 통과 (0.07ms, 33.5MB)
테스트 2 〉 통과 (0.08ms, 33.4MB)
테스트 3 〉 통과 (8501.45ms, 78.8MB)
테스트 4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5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6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7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8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9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10 〉 통과 (32.09ms, 38MB)
테스트 11 〉 통과 (5201.16ms, 79.9MB)
테스트 12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13 〉 통과 (0.05ms, 33.3MB)
테스트 14 〉 통과 (0.11ms, 33.3MB)
테스트 15 〉 통과 (0.06ms, 33.5MB)
테스트 16 〉 통과 (0.05ms, 33.3MB)
테스트 17 〉 통과 (0.05ms, 33.5MB)
테스트 18 〉 통과 (0.16ms, 33.5MB)
배열을 이용해봤는데.. 오히려 시간이 늘어난것 같다.
각각의 반복문마다 배열이 같은지를 every() 매서드로 확인해서 그런건가..
1231이 빠져도 이전에 남은거랑 붙었을때 1,2,3,1 의 순서가 맞는지를 체크해야하는데
어떡해야 할지 한참 고민했다.
3차
const solution = (ingredient) => {
let count = 0;
let ingredientStr = ingredient.join("");
while(true){
const filterArr = ingredientStr.split(/(1231)/g)
if(filterArr.length === 1 && filterArr[0] !== '1231') break;
count += filterArr.filter(el => el === '1231').length
ingredientStr = filterArr.filter(el => el !== '1231').join("");
}
return count;
}
테스트 1 〉 통과 (0.14ms, 33.4MB)
테스트 2 〉 통과 (0.14ms, 33.4MB)
테스트 3 〉 실패 (17.32ms, 51.1MB)
테스트 4 〉 실패 (39.15ms, 71.9MB)
테스트 5 〉 실패 (50.55ms, 75.8MB)
테스트 6 〉 실패 (30.09ms, 51.7MB)
테스트 7 〉 통과 (35.13ms, 63.2MB)
테스트 8 〉 통과 (30.32ms, 51.8MB)
테스트 9 〉 실패 (19.52ms, 52.6MB)
테스트 10 〉 통과 (0.47ms, 33.8MB)
테스트 11 〉 통과 (13.99ms, 49.1MB)
테스트 12 〉 실패 (57.71ms, 90.9MB)
테스트 13 〉 통과 (0.09ms, 33.4MB)
테스트 14 〉 통과 (0.13ms, 33.5MB)
테스트 15 〉 통과 (0.08ms, 33.4MB)
테스트 16 〉 통과 (0.13ms, 33.5MB)
테스트 17 〉 통과 (0.10ms, 33.4MB)
테스트 18 〉 통과 (0.14ms, 33.5MB)
얘는 시간은 빠른데.. 왜 실패지? 테스트케이스를 여러개 추가해서 해봐도
어떤 부분이 실패인지를 잘 모르겠다. 나중에 좀 더 알아봐야지
4차
const solution = (ingredient) => {
let count = 0;
let stack = [];
for(let i of ingredient){
stack.push(i);
if(stack.slice(-4).join("") == '1231'){
count ++;
stack = stack.slice(0,-4);
}
}
return count;
}
테스트 1 〉 통과 (0.05ms, 33.3MB)
테스트 2 〉 통과 (0.06ms, 33.4MB)
테스트 3 〉 통과 (7909.81ms, 78.5MB)
테스트 4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5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6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7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8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9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10 〉 통과 (7.05ms, 38.1MB)
테스트 11 〉 통과 (5416.14ms, 79.7MB)
테스트 12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13 〉 통과 (0.05ms, 33.4MB)
테스트 14 〉 통과 (0.05ms, 33.3MB)
테스트 15 〉 통과 (0.05ms, 33.3MB)
테스트 16 〉 통과 (0.05ms, 33.3MB)
테스트 17 〉 통과 (0.05ms, 33.4MB)
테스트 18 〉 통과 (0.09ms, 33.4MB)
하고보니까 두번째랑 비슷한데 코드만 간결하게 썼네..
문자열로 해보면 어떨까..
5차
const solution = (ingredient) => {
let count = 0;
let stack = "";
for(let i of ingredient){
stack += i;
if(stack.indexOf('1231') !== -1){
count ++;
stack = stack.substring(0,stack.length - 4);
}
}
return count;
}
테스트 1 〉 통과 (0.08ms, 33.6MB)
테스트 2 〉 통과 (0.05ms, 33.4MB)
테스트 3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4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5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6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7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8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9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10 〉 통과 (115.15ms, 34.9MB)
테스트 11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12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13 〉 통과 (0.05ms, 33.4MB)
테스트 14 〉 통과 (0.05ms, 33.4MB)
테스트 15 〉 통과 (0.05ms, 33.4MB)
테스트 16 〉 통과 (0.06ms, 33.4MB)
테스트 17 〉 통과 (0.06ms, 33.5MB)
테스트 18 〉 통과 (0.08ms, 33.4MB)
음 문자열은 확실히 성능이 구린걸 깨닫게 되었다!!
6차
const solution = (ingredient) => {
let stack = [];
let count = 0;
for(let i of ingredient){
stack.push(i);
if(stack.length >= 4){
if(stack.at(-1) === 1 &&
stack.at(-2) === 3 &&
stack.at(-3) === 2 &&
stack.at(-4) === 1){
stack.pop();
stack.pop();
stack.pop();
stack.pop();
count ++;
}
}
}
return count;
}
테스트 1 〉 통과 (0.08ms, 33.5MB)
테스트 2 〉 통과 (0.09ms, 33.4MB)
테스트 3 〉 통과 (47.81ms, 57.7MB)
테스트 4 〉 통과 (133.45ms, 76.3MB)
테스트 5 〉 통과 (115.90ms, 82.9MB)
테스트 6 〉 통과 (101.95ms, 61.2MB)
테스트 7 〉 통과 (102.46ms, 71.8MB)
테스트 8 〉 통과 (72.10ms, 61.5MB)
테스트 9 〉 통과 (48.47ms, 59.6MB)
테스트 10 〉 통과 (5.30ms, 37.6MB)
테스트 11 〉 통과 (35.13ms, 54.2MB)
테스트 12 〉 통과 (141.59ms, 97.7MB)
테스트 13 〉 통과 (0.05ms, 33.4MB)
테스트 14 〉 통과 (0.05ms, 33.5MB)
테스트 15 〉 통과 (0.06ms, 33.4MB)
테스트 16 〉 통과 (0.08ms, 33.5MB)
테스트 17 〉 통과 (0.06ms, 33.4MB)
테스트 18 〉 통과 (0.06ms, 33.5MB)
무식하게 해봤는데 통과했다 ;;
심지어 속도도 빠르당..
아무래도 [1,2,3,1]의 배열을 비교하는 부분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slice등의 매서드가
반복량이 많아질 수록 부하가 커지는듯..
그거랑 배열을 직접 재선언 하는 부분을 pop() 매서드로 교체하면서 좀 더 효율이 좋아진것 같다.